본문 바로가기
3. MAX LIFE/(1) 세상 이모저모

'BTS 진' 나오는 '대환장 기안장' 독도 표기 논란 NO! 전 세계에 울려 퍼진 애국 자막

by MAX 길라잡이 2025. 4. 19.
728x90

'BTS 진' 나오는 '대환장 기안장' 독도 표기 논란 NO! 전 세계에 울려 퍼진 애국 자막

 

📄 지문

Netflix's new variety show "Kian's Bizarre B&B" featured a clear message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In episode 6, the show follows a father and his two sons on a trip to Dokdo, showing the island's full view. The word "Dokdo" appears in bold Hangul between the two main islets, with subtitles showing "DOKDO" in English and "独島(ドクト)" in Japanese. This accurate representation contrasts with past cases where Dokdo was mislabeled as "Takeshima" in foreign subtitles. The show's global popularity, boosted by BTS Jin’s appearance, has made the correct naming of Dokdo a proud moment for many viewers.

 

📄 전체해석

넷플릭스의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은 "독도는 한국 영토다"라는 명확한 메시지를 담았다. 6화에서는, 그 프로그램이 아버지와 두 아들의 독도 여행을 따라가며 섬의 전체 모습을 보여준다. "독도"라는 단어가 굵은 한글로 두 주요 섬 사이에 나타나고, 자막에는 영어로 "DOKDO", 일본어로는 "独島(ドクト)"라고 표시된다. 이 정확한 표기는, 과거 외국 자막에서 독도가 "다케시마"로 잘못 표기되었던 사례들과 대조된다. BTS 진의 출연으로 더욱 인기를 얻은 그 프로그램은, 독도의 정확한 명명이 많은 시청자들에게 자랑스러운 순간이 되게 만들었다.

 

 

📘 영어 문장 분석

1. Netflix's new variety show "Kian's Bizarre B&B" featured a clear message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 직독직해

  • Netflix's new variety show / "Kian's Bizarre B&B" / featured / a clear message /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1차 의미 : 넷플릭스의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 / "대환장 기안장"은 / 특징 지었다 / 명확한 메시지를 / "독도는 한국 영토이다"라는
    2차 의미 : 넷플릭스의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은 "독도는 한국 영토다"라는 명확한 메시지를 담았다.

🔍 문장 구조

  • 주어(S) : Netflix's new variety show "Kian's Bizarre B&B"
  • 동사(V) : featured
  • 목적어(O) : a clear message
  • 목적격 보어/명사절 :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 문법 포인트

  • that절은 message를 설명하는 동격 명사절입니다.
  • feature는 "특징으로 하다, 포함하다"는 뜻의 타동사입니다.

📝 주요 단어/숙어

단어/숙어 의미 예문
feature 포함하다, 특징으로 삼다 The film features several famous actors.
variety show 예능 프로그램 I love watching Korean variety shows.
a clear message 명확한 메시지 The ad delivers a clear message about safety.

 

 

2. In episode 6, the show follows a father and his two sons on a trip to Dokdo, showing the island's full view.

📌 직독직해

  • In episode 6, / the show / follows / a father and his two sons / on a trip to Dokdo, / showing / the island's full view.
    1차 의미 : 6화에서 / 그 쇼는 / 따라간다 / 아버지와 두 아들을 / 독도로 가는 여행에서 / 보여주면서 / 섬의 전체 모습을
    2차 의미 : 6화에서는, 그 프로그램이 아버지와 두 아들의 독도 여행을 따라가며 섬의 전체 모습을 보여준다.

🔍 문장 구조

  • 부사구(시간) : In episode 6
  • 주어(S) : the show
  • 동사(V) : follows
  • 목적어(O) : a father and his two sons
  • 전치사구(장소) : on a trip to Dokdo
  • 분사구문(부가 설명) : showing the island's full view

🔍 문법 포인트

  • 현재 시제 사용 → 방송 내용 요약 시 흔히 사용
  • 분사구문 showing은 앞의 문장 전체(여정을 따라가는 것)에 부가적인 정보를 덧붙이는 형식입니다.

📝 주요 단어/숙어

단어/숙어 의미 예문
follow 따라가다, 추적하다 The camera follows the character through the city.
on a trip to ~ ~로의 여행 중에 They're on a trip to Paris.
show (sth) ~을 보여주다 The map shows all the landmarks.
full view 전체 모습 We had a full view of the valley.

 

 

 

3. The word "Dokdo" appears in bold Hangul between the two main islets, with subtitles showing "DOKDO" in English and "独島(ドクト)" in Japanese.

📌 직독직해

  • The word "Dokdo" / appears / in bold Hangul / between the two main islets, / with subtitles / showing / "DOKDO" in English / and "独島(ドクト)" in Japanese.
    1차 의미 : "독도"라는 단어가 / 나타난다 / 굵은 한글로 / 두 주요 섬 사이에 / 자막과 함께 / 보여주는 / 영어로는 "DOKDO" / 일본어로는 "독도(ドクト)"
    2차 의미 : "독도"라는 단어가 굵은 한글로 두 주요 섬 사이에 나타나고, 자막에는 영어로 "DOKDO", 일본어로는 "独島(ドクト)"라고 표시된다.

🔍 문장 구조

  • 주어(S) : The word "Dokdo"
  • 동사(V) : appears
  • 전치사구(위치) : in bold Hangul / between the two main islets
  • 부가정보 : with subtitles showing "DOKDO"...
  • 분사구문 : showing "DOKDO" ... and "独島(ドクト)"...

🔍 문법 포인트

  • with + 명사 + 분사 구조로 부가적인 상태 묘사 (with subtitles showing...)
  • appear는 "나타나다", 보이다 의미로 자동사입니다.

📝 주요 단어/숙어

단어/숙어 의미 예문
appear 나타나다 The sun appears over the horizon.
in bold 굵은 글씨로 Important points are written in bold.
islets 작은 섬들 The ship passed between the islets.
with subtitles showing 자막이 ~을 보여주며 The video played with subtitles showing the lyrics.

 

 

4. This accurate representation contrasts with past cases where Dokdo was mislabeled as "Takeshima" in foreign subtitles.

📌 직독직해

  • This accurate representation / contrasts / with past cases / where Dokdo / was mislabeled / as "Takeshima" / in foreign subtitles.
    1차 의미 : 이 정확한 표현은 / 대조된다 / 과거 사례들과 / 그 사례들에서 독도는 / 잘못 표시되었다 / "다케시마"로 / 외국 자막에서
    2차 의미 : 이 정확한 표기는, 과거 외국 자막에서 독도가 "다케시마"로 잘못 표기되었던 사례들과 대조된다.

🔍 문장 구조

  • 주어(S) : This accurate representation
  • 동사(V) : contrasts
  • 전치사구 : with past cases
  • 관계절 : where Dokdo was mislabeled as "Takeshima" in foreign subtitles

🔍 문법 포인트

  • contrast with는 자동사 구조로, "~와 대조되다"
  • 관계부사 where : "그 사례에서"라는 의미로, past cases를 수식

📝 주요 단어/숙어

단어/숙어 의미 예문
representation 표현, 묘사 The painting is a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town.
contrast with ~와 대조되다 Her behavior contrasts with her words.
mislabel 잘못 라벨을 붙이다 The map mislabeled the city as the capital.
foreign subtitles 외국어 자막 Foreign subtitles help with language learning.

 

 

5. The show's global popularity, boosted by BTS Jin’s appearance, has made the correct naming of Dokdo a proud moment for many viewers.

📌 직독직해

  • The show's global popularity, / boosted by BTS Jin’s appearance, / has made / the correct naming of Dokdo / a proud moment / for many viewers.
    1차 의미 : 그 쇼의 세계적인 인기 / BTS 진의 출연에 의해 강화된 / 만들었다 / 독도의 정확한 명명(이름 사용)을 / 자랑스러운 순간으로 / 많은 시청자들에게
    2차 의미 : BTS 진의 출연으로 더욱 인기를 얻은 그 프로그램은, 독도의 정확한 명명이 많은 시청자들에게 자랑스러운 순간이 되게 만들었다.

🔍 문장 구조

  • 주어(S) : The show's global popularity
  • 분사구문(수식) : boosted by BTS Jin’s appearance
  • 동사(V) : has made
  • 목적어(O) : the correct naming of Dokdo
  • 목적보어(OC) : a proud moment for many viewers

🔍 문법 포인트

  • make A B 구조 → A를 B로 만들다
  • 분사구문 boosted by ~는 수동태 분사구문으로, popularity가 BTS 진의 등장에 의해 "강화되었다"는 의미를 전달

📝 주요 단어/숙어

단어/숙어 의미 예문
boost 상승시키다, 강화하다 His speech boosted team morale.
make A B A를 B로 만들다 The movie made her a star.
naming 명명, 이름붙이기 The naming of the baby was kept secret.
a proud moment 자랑스러운 순간 Winning the award was a proud moment for her.